오픈소스는 그 특성상 소스를 전 세계에 공개하고 있다. 그래서 많은 사람들의 동참이 필수적이며 활발한 개발자,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서 개선되고 증진될 수 있다. 오픈소스에 있어서 필수적인 커뮤니티는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, 좋은 커뮤니티는 어떠해야 하는지와 국내외 커뮤니티에 대해 알아 보자.
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종류
오픈소스는 웹 2.0, SaaS (Software as a Service), 가상화, 클라우드 컴퓨팅 등 이슈화된 주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. 특히 웹 2.0의 개념이 잘 구현된 것이 오픈소스라 할 수 있으며 오픈소스는 웹 2.0에서 얘기하는 네트워크 효과의 이점을 잘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.
네트워크 -> 지속적인 상호 작용 (분업과 협업) -> 커뮤니티
-> 디지털 데이터의 생성
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참여한 사용자간에 지속적인 상호 작용이 일어 나고 이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가 생성 된다.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오픈소스의 종류와 생성되는 디지털 데이터로 그 종류를 구분해 볼 수 있다.
{| cellspacing="1" cellpadding="1" border="1" width="100%"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bgcolor="cyan" width="20%"|기여자 커뮤니티 (개발자 커뮤니티)
|width="80%"|
오픈소스 개발자 커뮤니티
커뮤니티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가 오픈소스 소스코드 또는 문서로 직접 오픈소스에 기여 하는 커뮤니티 이다.
- 오픈소스 소스코드 기여자 커뮤니티
- 소스코드, 버그 정보 등
- 오픈소스 문서화 기여자 커뮤니티
- 한글팩, 매뉴얼 제작 등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bgcolor="cyan"|사용자 커뮤니티
|
커뮤니티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가 오픈소스의 사용 정보이며 사용 정보에 대한 교환으로 각 종 사용상의 문제에 대한 해결 정보를 교환 한다.
-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커뮤니티
MySQL, Tomcat, SugarCRM 등과 같은 오픈소스 SW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
-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사용자 커뮤니티
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티
- 오픈소스 프로그램 언어 사용자 커뮤니티
PHP, Java 등과 같은 오픈소스 프로그램 언어에 대한 커뮤니티
오픈소스를 사용한 개발자 들간에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한다.
|}
지금까지 오픈소스의 종류를 알아 보았는데, 오픈소스에 있어서 커뮤니티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이루고 있으면 좋은 오픈소스는 얼마나 커뮤니티가 발달하였는지로 구분할 수 있다.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평가 항목과 중요한 기본 서비스를 알아 보자.
- 오픈소스 사용자 커뮤니티 평가 기준
- 사용자 수 :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있는가? 사용자 중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실제로 활동하고 있는가?
- 참여자 수 (운영자 수) : 사용자 중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운영에 참여를 하고 있는가?
- 기간당 post 수 : 일정 기간동안 제시되는 post수는 얼마인가?
- post당 응답 시간 : 각 post 당 평균 응답 시간은 얼마나 짧은가?
- 오픈소스 사용자 커뮤니티의 서비스
- 포럼 (BBS, 전자게시판)
- 다양한 주제의 글타래 제공
- 양질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추천 점수제, 명성 등이 사용된다.
- 메일링 리스트
- 한번에 여러 사람이 서로 메시지를 교환화면서 의견을 나눌 수 있다.
- 메신저, 메일링 리스트 게시판
- 블로그, 위키, 자료실
- Q&A를 통하여 정재된 정보를 제공한다.
오픈소스 커뮤니티 평가 항목
How active is the community around the software? How many users? Posts in a given time period?
How many committers outside the open source company itself?
How many downloads are claimed?
How long does it take to get a response if you pose a question?
What kind of forum software is used? Login/registration required?
What is the nature of people in the community? Integrators? Commercial users vs. academic?
Who is their typical customer/user ?
What are the key use cases?
What programming models are supported?
Describe the nature of the APIs provided?
What is specificed at programming type vs. configured at run-time in terms of parallelization, environment, etc?
What kind of out-of-box samples are packaged with the middleware?
게시판 -> CMS
|-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sysmon, [http://dev.naver.com/projects/sysmon 사이트]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GPL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대규모 리눅스/윈도우 서버 장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개발된 MySQL 기반의 웹 도구
|-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dist, [http://dev.naver.com/projects/dist 사이트]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GPL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Python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다수의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셸 명령어 수행 도구입니다.
Dist를 사용하여 마스터 서버로 내려진 명령어는, 여러 서버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되고 그 결과는 정리되어 마스터 서버에서 보여집니다.
|-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neptune, [http://dev.naver.com/projects/dist 사이트]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Apache License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수십 ~ 수백대의 분산된 서버에 수십 TB 이상 대규모의 구조화된 데이터를 저장, 서비스하는 데이터 관리 시스템
|-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coord, [http://dev.naver.com/opensource/ coord]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GPL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분산 메모리 기반의 컴퓨팅 플랫폼
|-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SmartEditor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GPL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Javascript로 구현된 웹 기반의 WYSIWYG 에디터로 공개 준비 중 이다.
|}
회원수 : 50만명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소프트웨어 커뮤니티 연합 (SCA)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2005년 7월 솔라시스 스쿨, 솔라리스 테크넷, 자바유저스넷, 자바크래프트, 파란자바동,KELP 등 국내 대표적인 15개 SW 개발자 및 엔지니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발족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스프링 사용자 모임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Java 개발 프레임워크인 Spring의 한국 사용자 모임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오픈 오피스 한국어 커뮤니티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오픈 오피스 한국어 커뮤니티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김프 코리아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김프(GIMP)를 사용하는 한국 사용자들의 커뮤니티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무들 사용자 모임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오픈소스 LMS인 Moodle 사용자 커뮤니티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모질라 커뮤니티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글로벌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한국 개발자들이 소스 개발에 관심있는 국내 개발자들을 위해 소스 코드 버그들을 미리 판별해 주고 이를 해외 프로젝트에서 버그로 처리하는 방식 및 패치 제작등을 멘토링해 주기 위해 만들어 사이트 (2008년 1월 18일 ~)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APM Setup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Apache, PHP, MySQL 자동 설치 프로그램 사이트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삼성 모바일 이노베이터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삼성 모바일 이노베이터, Samsung Mobile Innovator
전 세계 휴대폰 소프트웨어(S/W) 개발자들을 위해 기술 지원과 정보를 공유하는 휴대폰 소프트웨어 개발자 사이트
|-
|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| [HP's FOSSology](http://fossology.org/docs/about_us)
| align="left" valign="middle" |
- Hewlett Packard Company (HP), Advancing open source analysis and development
- HP의 내부용으로 오픈소스 분석 및 개발 사이트
|-
|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| [OSDir.com](http://osdir.com/)
| align="left" valign="middle" |
- Open Source, Linux News & Software
- 오픈소스 관련 정보 제공 사이트 (Databases, Java, Linux, Open Source 등)
|-
|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| [BerliOS](http://www.berlios.de/)
| align="left" valign="middle" |
- 오픈소스의 거래를 중계하는 사이트
|-
|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| [퀄컴, 브루 모바일 플랫폼](https://brewmobileplatform.qualcomm.com/)
| align="left" valign="middle" |
- 퀄컴이 모바일 플랫폼 브루(Brew)를 오픈 플랫폼으로 공개
- 통합 유저인터페이스(UI)인 '유아이원'이 기본 내장돼 있음
- C, C++, 플래시, Lua, 자바 등 다양한 개발 언어로 프로그래밍 가능
|-
| 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 | [OSWD (OpenSourceWebDesign)](http://www.oswd.org/)
| align="left" valign="middle" |
- 2,000개 이상의 디지안 시안을 공개
- [OSDisc.com](http://www.osdisc.com/) : 유용한 오픈소스를 모아 CD 또는 USB로 구워서 판매
- [Code Project](http://www.codeproject.com/) : 코드 프로젝트
- [CodeGrue](http://www.codeguru.com/) : 코드 구루
- [Open source projects](http://www.ibm.com/developerworks/views/linux/projects.jsp) : Linux 관련 프로젝트
- [http://www.codeproject.com/](http://www.codeproject.com/)
오픈소스 2만건, 라이선스 70여종 -> 2009년말 : 오픈소스SW를 800만건으로 확대하고, 이를 기반으로 SW에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사용 여부를 검증해 주는 시스템(OLIS) 오픈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Krugle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코드 관리를 효과적으로 해 주는 솔루션 제공
Sourceforce와 협력 관계 (파트너쉽)
소스 외에도 문서 등등에 대한 검색 조건이 있음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Google Code Search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언어, 라이선스, 팩키지명, 클래스명, 파일명, 문자열 등으로 검색이 가능하다.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Koders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A community for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governance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OIDF (OpenID Foundation)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오픈 아이디 관련 기술을 제공하는 커뮤니티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Slashdot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유명한 기술 커뮤니티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Bioinformatics.Org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The Open-Access Institute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The Linux Kernel Archives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STEN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Software Test Engineer Network
2002년 10월에 설립된 SW 테스팅을 수행하는 실무자 들을 위한 전문 그룹
SW 테스트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테스팅에 관심 있는 개발자도 다수 포함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루비 사용자 포럼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한국 루비 사용자 포럼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한국 TeX 사용자 그룹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TeX(텍)은 탁월한 조판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
한글 텍 사용자 그룹은 텍과 그 파생 매크로 집합인 LaTeX, ConTeXt, AMSLaTeX 등을 사용하여 논문을 작성하거나 프로그래밍하거나 책을 만들거나 하는 일을 하는 사용자들의 모임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Chumby 한국 개발자 모임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첨비(Chumby) 한국 개발자 모임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(OMA)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
모바일 폰을 위한 공개된 표준을 지원하는 단체
|-
|align="center" valign="middle"|Teaching Open Source
|align="left" valign="middle"|